
안녕하세요. 교육 서비스를 혁신하는 에이블런입니다.
여러분은 MZ세대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계시나요?
유행이라고만 알고 계시다면 MZ세대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인 걸까요?
기성세대에겐 MZ세대가 신인류처럼 이해하기 힘든 '요즘 것들'인지라
MZ세대의 사회 유입은 근 몇 년 내내 장안의 화제였는데요.
그러나 독특하고 획기적이라고만 여겨온 MZ세대가 주류로 성장하면서,
기업들은 이제 그들과 소통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출처 : 통계청,맥캔지코리아)
MZ세대는 밀레니얼(Millennial) 세대인 1980~2000년생과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Z세대를 합쳐서 일컫는 말입니다.
MZ세대인 신입사원을 심사숙고하여 채용한 만큼,
그들을 회사에서 일 잘하며 근속하게 만드는 방법을 아는 것도 중요하겠죠.
그렇다면 먼저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출처 : 통계청,맥캔지코리아)
MZ세대는 밀레니얼(Millennial) 세대인 1980~2000년생과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Z세대를 합쳐서 일컫는 말입니다.
MZ세대인 신입사원을 심사숙고하여 채용한 만큼,
그들을 회사에서 일 잘하며 근속하게 만드는 방법을 아는 것도 중요하겠죠.
그렇다면 먼저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MZ세대가 회사에 원하는 것은?
MZ세대와 함께 하기 위해선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죠.
취업 포털 ‘사람인’에서 ‘MZ세대가 이전 세대와 비교해
회사에 원하는 것이 다른가’에 대해 조사했어요.
무려 88.2%, 기업 10곳 중 9곳은
“MZ세대가 회사에 바라는 것이 다르다”라고 답했습니다.
과연 MZ세대만이 가진 특성은 무엇일까요?

기성세대가 끈끈한 연대를 중요시한다면 MZ세대는
‘느슨한 연대’가 유지되는 걸 원하는 점이 다릅니다.
느슨한 연대로 묶인 MZ세대는 본인의 가치관에 맞지 않는다면
과감하게 사직서를 내는 모습을 보이는데요. 과거에는 입사한 회사에서 장기적으로
근무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면, MZ세대에게 직장은 언제든 떠나갈 수 있고,
더 나은 곳으로 가는 과정 중에 하나라고 볼 수도 있겠죠.
그렇다고 일을 허투루 하는 건 아닙니다.
본인의 잠재력과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런 가능성을 주는 곳이라면 정착하려는 의지도 강합니다.
인사교육담당자는 이런 MZ세대의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느슨한 연대로 묶인 그들에게 끊임없이
‘우리 회사와 함께 해야 하는 이유’를 제공해야 하거든요.
특히 인재를 놓치지 않기 위해선
그들이 퇴사를 결심하는 이유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죠.

MZ세대 신입사원 이직률⬇️ 애사심⬆️방법
개개인의 차이와 취향을 존중하며, 부당한 대우에 대해선
당당하게 의견을 말하는 MZ세대는 자유롭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선호하며
업무에서도 발전할 기회가 있는 회사를 선호합니다.
발전할 기회가 없다면 회사의 발전 가능성 또한 보지 못하고,
퇴사를 결심하게 되는 이유가 되는 거죠.
커리어 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1,124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러 이유들 중에 실제로
‘개인의 역량 발전이 어려움’(20.3%),
‘회사 비전, 성장성에 대한 의문’(18.4%)
이 MZ세대가 단기 이직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는데요.
회사를 통해 개인이 발전할 수 없다면 퇴직을 결심하는 거죠.
개인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회사에서 제공하는 직무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워라벨을 중시하는 이유도 퇴근 후 강의를 듣거나, 자격증을 따며 본인의 능력을 높이기 위함이 크죠.
개인의 성장 = 회사의 성장이라고 생각하는 MZ세대에게는
그들을 성장시키는 교육을 하는 것이, 회사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겠죠.

(출처: Redefine Worked Report 2022 토스랩)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업이 되는 것
자기개발을 위한 수단을 회사에서 지원해 주길 바라는 MZ세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 강의 및 복지를 회사에서 제공해 주면 금방 회사를 떠나지 않을까요?”
걱정이 들기도 하실 텐데요. 그렇지 않습니다.
MZ세대는 회사 내에서 일잘러가 되고 싶어 해요.
MZ세대에게 일잘러가 되는것과 나를 위한 자기개발은 다르지 않습니다.
이런 니즈를 충족시켜주는 사내 교육제도가 있으면
회사에 대한 호감도와 근속 욕구가 도리어 상승한다고 해요.
이렇듯 MZ세대는 ‘발전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매력적으로 느낍니다.
많은 기업이 사내 교육에 거액을 투자해 구성원들의
성장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이유인데요.
이에 따라, 직원들이 필요로 하는 사내/외 교육, 교재 구매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는 회사가 늘고 있습니다.
1. SK 하이닉스
SK하이닉스 역시 ‘DT의 씨앗’이라고 일컬어지는 빅데이터(Big Data)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지하고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2017년부터 자체 교육 과정을 신설하며 데이터 레벨 인증 체계를 도입했고,
2018년부터는 국내 주요 대학과 손잡고 전문가 육성 과정을 개설해 운영 중이라고 하는데요.
SK하이닉스는 이러한 교육 과정을 통해 재직자들이 이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양손잡이 인재로 성장하는 것은 물론, 데이터 기반의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2.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은 4차 산업 혁명 시대 의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보건 의료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한 융합형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의료 인공지능 전문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형태로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을 병행하며,
오프라인 교육은 서울 강남구 인재원 보건산업교육실에서 진행된다고 하는데요.
교육은 의료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머신러닝·딥러닝 학습뿐만 아니라,
의료 영역에서의 인공지능 적용 사례를 직접 실습하고,
교육생 주도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해 보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 based learning) 형태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3. LG 전자
그뿐만 아니라 MZ세대가 원하는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인 회사도 있는데요.
주 52시간제가 정착함에 따라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언제든 수강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의 비중을 높이고 있습니다. 사내 교육에 디지털을 접목한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LG전자가 있습니다. DX ·고객 가치·직무별 교육 등 총 11개 분야에 5,000여 개의 콘텐츠를
사내 교육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이 진행된 3개월 동안 약 47,000명의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놀라운 성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이렇듯 미래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는 기업 및 기관들이 에이블런 교육을 찾아주시고 계신데요.
MZ 신입사원에게 하고 있는 일을 더 잘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업스킬링하고,
디지털 분야로의 리스킬링 하여 역량을 키우고자 에이블런의 교육을 선택하셨습니다.
이러한 MZ 신입사원의 업스킬링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하려면,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가장 적합한 기업 교육을 활용하는 것이 검증된 방법이죠.
에이블런은 직급별 강의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한 교육을 시공간의 제약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별로 강의가 구성되어 있어,
디지털 혁신부터 직무 맞춤형 데이터 교육까지 다양한 교육이 가능합니다!
조금 더 치밀하게 디지털을 기업문화에 접목할 수 없다면,
아무리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더라도 이를 정착시킬 수 없지 않을까요?
앞서가는 기업문화는 MZ세대 신입사원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근무의 원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정부기관 검증된 에이블런 데이터 교육
에이블런 디지털 MZ세대를 위한 교육을 가장 잘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데이터 시대, 성장하는 기업의 핵심은 기업 전체 문화의 변화
따라서 재직자, MZ 신입사원은 물론
비전공자 임직원의 DT교육, 데이터교육이 필수가 된 것입니다.
이러한 데이터 직무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리터러시, 데이터분석은 능력이 있어야겠죠.
데이터 전문교육 기관 에이블런에서는
비전공자들을 위한 데이터드리븐디자인씽킹, 노코드데이터분석 등
직무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이 준비되어 있어
MZ신입사원도, 기성세대 재직자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재직자교육은 특히, 실무에 직접 활용할 수 없다면 교육은 무용지물입니다.
에이블런은 실무에 직접 활용하실 수 있는 내용들만 가르쳐드리며
지루하지 않게 명료한 이론과 비즈니스 사례를 접목한 실습으로
수강생들의 온전히 몰입하여 수강하실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합니다.
MZ 신입사원을 포함한 모든 임직원의 데이터활용에
에이블런이 함께할 것임을 말씀드리며
다음에도 최신 데이터 소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교육 서비스를 혁신하는 에이블런입니다.
여러분은 MZ세대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계시나요?
유행이라고만 알고 계시다면 MZ세대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인 걸까요?
기성세대에겐 MZ세대가 신인류처럼 이해하기 힘든 '요즘 것들'인지라
MZ세대의 사회 유입은 근 몇 년 내내 장안의 화제였는데요.
그러나 독특하고 획기적이라고만 여겨온 MZ세대가 주류로 성장하면서,
기업들은 이제 그들과 소통하지 않을 수 없게 됐습니다.
(출처 : 통계청,맥캔지코리아)
MZ세대는 밀레니얼(Millennial) 세대인 1980~2000년생과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Z세대를 합쳐서 일컫는 말입니다.
MZ세대인 신입사원을 심사숙고하여 채용한 만큼,
그들을 회사에서 일 잘하며 근속하게 만드는 방법을 아는 것도 중요하겠죠.
그렇다면 먼저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출처 : 통계청,맥캔지코리아)
MZ세대는 밀레니얼(Millennial) 세대인 1980~2000년생과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에 태어난 Z세대를 합쳐서 일컫는 말입니다.
MZ세대인 신입사원을 심사숙고하여 채용한 만큼,
그들을 회사에서 일 잘하며 근속하게 만드는 방법을 아는 것도 중요하겠죠.
그렇다면 먼저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MZ세대가 회사에 원하는 것은?
MZ세대와 함께 하기 위해선 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죠.
취업 포털 ‘사람인’에서 ‘MZ세대가 이전 세대와 비교해
회사에 원하는 것이 다른가’에 대해 조사했어요.
무려 88.2%, 기업 10곳 중 9곳은
“MZ세대가 회사에 바라는 것이 다르다”라고 답했습니다.
과연 MZ세대만이 가진 특성은 무엇일까요?
MZ세대 신입사원 이직률⬇️ 애사심⬆️방법
개개인의 차이와 취향을 존중하며, 부당한 대우에 대해선
당당하게 의견을 말하는 MZ세대는 자유롭고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선호하며
업무에서도 발전할 기회가 있는 회사를 선호합니다.
발전할 기회가 없다면 회사의 발전 가능성 또한 보지 못하고,
퇴사를 결심하게 되는 이유가 되는 거죠.
커리어 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1,124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여러 이유들 중에 실제로
‘개인의 역량 발전이 어려움’(20.3%),
‘회사 비전, 성장성에 대한 의문’(18.4%)
이 MZ세대가 단기 이직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는데요.
회사를 통해 개인이 발전할 수 없다면 퇴직을 결심하는 거죠.
개인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회사에서 제공하는 직무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워라벨을 중시하는 이유도 퇴근 후 강의를 듣거나, 자격증을 따며 본인의 능력을 높이기 위함이 크죠.
개인의 성장 = 회사의 성장이라고 생각하는 MZ세대에게는
그들을 성장시키는 교육을 하는 것이, 회사의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겠죠.
(출처: Redefine Worked Report 2022 토스랩)
끊임없이 발전하는 기업이 되는 것
자기개발을 위한 수단을 회사에서 지원해 주길 바라는 MZ세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 강의 및 복지를 회사에서 제공해 주면 금방 회사를 떠나지 않을까요?”
걱정이 들기도 하실 텐데요. 그렇지 않습니다.
MZ세대는 회사 내에서 일잘러가 되고 싶어 해요.
MZ세대에게 일잘러가 되는것과 나를 위한 자기개발은 다르지 않습니다.
이런 니즈를 충족시켜주는 사내 교육제도가 있으면
회사에 대한 호감도와 근속 욕구가 도리어 상승한다고 해요.
이렇듯 MZ세대는 ‘발전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매력적으로 느낍니다.
많은 기업이 사내 교육에 거액을 투자해 구성원들의
성장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이유인데요.
이에 따라, 직원들이 필요로 하는 사내/외 교육, 교재 구매 등에
제한을 두지 않고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는 회사가 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역시 ‘DT의 씨앗’이라고 일컬어지는 빅데이터(Big Data)의 중요성을
일찍이 인지하고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2017년부터 자체 교육 과정을 신설하며 데이터 레벨 인증 체계를 도입했고,
2018년부터는 국내 주요 대학과 손잡고 전문가 육성 과정을 개설해 운영 중이라고 하는데요.
SK하이닉스는 이러한 교육 과정을 통해 재직자들이 이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양손잡이 인재로 성장하는 것은 물론, 데이터 기반의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2.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은 4차 산업 혁명 시대 의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보건 의료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한 융합형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의료 인공지능 전문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형태로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을 병행하며,
오프라인 교육은 서울 강남구 인재원 보건산업교육실에서 진행된다고 하는데요.
교육은 의료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 머신러닝·딥러닝 학습뿐만 아니라,
의료 영역에서의 인공지능 적용 사례를 직접 실습하고,
교육생 주도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해 보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Project based learning) 형태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3. LG 전자
그뿐만 아니라 MZ세대가 원하는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인 회사도 있는데요.
주 52시간제가 정착함에 따라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언제든 수강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의 비중을 높이고 있습니다. 사내 교육에 디지털을 접목한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LG전자가 있습니다. DX ·고객 가치·직무별 교육 등 총 11개 분야에 5,000여 개의 콘텐츠를
사내 교육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이 진행된 3개월 동안 약 47,000명의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놀라운 성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이렇듯 미래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는 기업 및 기관들이 에이블런 교육을 찾아주시고 계신데요.
MZ 신입사원에게 하고 있는 일을 더 잘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업스킬링하고,
디지털 분야로의 리스킬링 하여 역량을 키우고자 에이블런의 교육을 선택하셨습니다.
이러한 MZ 신입사원의 업스킬링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하려면,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가장 적합한 기업 교육을 활용하는 것이 검증된 방법이죠.
에이블런은 직급별 강의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한 교육을 시공간의 제약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 별로 강의가 구성되어 있어,
디지털 혁신부터 직무 맞춤형 데이터 교육까지 다양한 교육이 가능합니다!
조금 더 치밀하게 디지털을 기업문화에 접목할 수 없다면,
아무리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더라도 이를 정착시킬 수 없지 않을까요?
앞서가는 기업문화는 MZ세대 신입사원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근무의 원동력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정부기관 검증된 에이블런 데이터 교육
에이블런 디지털 MZ세대를 위한 교육을 가장 잘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데이터 시대, 성장하는 기업의 핵심은 기업 전체 문화의 변화
따라서 재직자, MZ 신입사원은 물론
비전공자 임직원의 DT교육, 데이터교육이 필수가 된 것입니다.
이러한 데이터 직무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리터러시, 데이터분석은 능력이 있어야겠죠.
데이터 전문교육 기관 에이블런에서는
비전공자들을 위한 데이터드리븐디자인씽킹, 노코드데이터분석 등
직무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이 준비되어 있어
MZ신입사원도, 기성세대 재직자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재직자교육은 특히, 실무에 직접 활용할 수 없다면 교육은 무용지물입니다.
에이블런은 실무에 직접 활용하실 수 있는 내용들만 가르쳐드리며
지루하지 않게 명료한 이론과 비즈니스 사례를 접목한 실습으로
수강생들의 온전히 몰입하여 수강하실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합니다.
MZ 신입사원을 포함한 모든 임직원의 데이터활용에
에이블런이 함께할 것임을 말씀드리며
다음에도 최신 데이터 소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