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이론부터 start! 데이터 분석 기초부터 UX, UI디자인과 프로토타이핑의 개념까지👍

 



안녕하세요.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활용 전문 그룹 <에이블런>입니다.


오늘은 에이블런과 서울경제진흥원이 함께한 

청년취업사관학교 새싹(Seoul Software Academy, SeSac) 동작 캠퍼스 3기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이론 교육편'으로 찾아왔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의 핵심 과정인 

데이터 분석 실무과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데이터 활용 기반의 실무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비스 기획 실무 교육 & 취업 성공을 위한 치트키🔑 <체인저스 5기>



실무 경험을 쌓기 전에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가 있죠.🖍️


바로 '데이터 분석의 이해'입니다.

데이터 기반의 기초 이론 교육부터 시작해서 실무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에이블런 X 새싹이 최선을 다했습니다.


오늘은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의 

이론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구체적으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TART⭐









1. 데이터 & 인포메이션

 

데이터 활용의 실무 경험을 쌓기 전,

 '데이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죠?





데이터의 사전적 의미는 

'이론을 세우는 데에 기초가 되는 자료',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형태로 기호화·숫자화한 자료'를 말합니다.

데이터가 가공된 것을 우리는 '정보(information)'라고 말합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는

'DT기반'의 직무에 대한 역량을 쌓기 위해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므로

'데이터의 이해'를 주제로 

이론 교육을 통해 데이터의 개념을 이해하는 단계부터 시작합니다.


이론 교육은 향후 실무 교육 과정에서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기획과 프로젝트 수립 등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2.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BM)의 사전적 의미는

'사업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어디서, 누구에게, 어떤 가치를, 어떤 방법으로 전달하고,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방향과 방법'을 말합니다.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수립한 비즈니스 모델은 

디지털 시대에서의 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기업 입장에서는 서비스 프로젝트를 수립하는 데에 기초가 됩니다.


또한 기업의 사업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핵심 요소가

바로 '비즈니스 모델(BM)'입니다.🔑







앞으로 실무자가 될 수강생 여러분을 위해


비즈니스 가설 설계, 전략 설정 등을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서비스 기획 전문가의 핵심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UX와 UI 디자인에 대해서는 저번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포스팅에서 

간단히 개념에 대한 소개를 드렸습니다.


성공적인 제품 개발과 브랜드 신뢰성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가 

바로 UX & UI 디자인입니다.


데이터 분석 역량을 쌓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니즈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죠.

UX와 UI 디자인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필요한 핵심 요소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UX & UI 디자인에 대한 이론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1. UX 디자인


UX(User Experience)는 사용자가 제품, 시스템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 전반에서

경험하는 모든 측면을 다루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UX 디자인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이고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UX 기초 이해 및 심화 학습' 과정에서 기초 UX 이해를 시작으로

UX 기법에 대한 학습을 하실 수 있습니다.




2. UI 디자인


UI(User Interface)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때,

직접적으로 접하는 시각적 요소의 디자인을 말합니다.


UI 디자인의 경우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명확한 '시작적인 요소'를 만드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UI기획 설계와 디자인은 디지털 제품 개발 단계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실무 교육 전

이론 교육을 진행하여 수강생들분들의 UI 디자인에 대한 기초 이해를 도왔습니다.

'GUI(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해' 등 

UI 개론에 대한 이론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여기서😉


UX와 UI 디자인의 차이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을 텐데요.


UX 디자인은 사용자의 전체 경험을 구성한다면,

UI 디자인은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각적인 요소를 만드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미래 데이터 분석 전문가로 성장할 수강생 여러분들께 질문!!


실무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 중 하나인 

'프로젝트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요?





바로 '커뮤니케이션'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 진행하는 이론 교육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기초 역량을 쌓을 수 있었는데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프로토타이핑'에 대한 이론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프로토타이핑'은 시각화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실무에서 프로토타이핑은 본격적인 상품화 단계 이전에 핵심 기능만 넣어 

성능을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본 모델입니다.


상품화 단계에 진입하면 도중에 중단하거나 취소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리스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기법인 프로토타이핑이 중요합니다.




이제 실제로 이론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그러면 이제 '강의현장'을 살펴볼까요?😉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이처럼 실무 교육을 진행하기에 앞서 

원활한 학습을 이어가기 위한 기초 단계로

'이론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수강생분들이 디지털 핵심 인재로 거듭나기 위한

이론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에이블런>은 국내 주요 대기업 신입 사원 및 임직원 직무 역량 강화 차원에서

교육 운영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 기업들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디지털 기초 개념에 대해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분,

👊실무 교육에 앞서 시작이 두려운 분,

👊이론부터 실무까지 한번에 해결하고 싶은 분,

👊디지털 분석 능력을 키우고 싶은 분

👊모두 에이블런에 문의 주세요!





🔥스포주의🔥


다음에는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프로젝트 편'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신청하러 가기👇

IT 부트캠프 모집 알림을 받고 싶다면?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