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활용 전문 그룹 <에이블런>입니다.
오늘은 에이블런과 서울경제진흥원이 함께한
청년취업사관학교 새싹(Seoul Software Academy, SeSac) 동작 캄퍼스 3기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실전 프로젝트 편'으로 찾아왔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의 핵심 과정과
이론 교육 과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데이터 활용 기반의 실무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에 대하여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 이론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리즈 1.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비스기획 실무교육 & 취업성공을 위한 치트키🔑<체인저스 5기>
시리즈 2.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이론부터 Start! 데이터 분석 기초부터 UX,UI 디자인과 프로토타이핑의 개념까지👍
데이터 분석의 기초 개념부터 시작해서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기획에서 필요한 디지털 활용 툴에 대한
이론 교육 과정을 거친 후
교육생들이 현업 프로젝트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생 여러분들께서 직접
1인부터 10인 이상의 실전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수립할 수 있는
실무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에이블런 X 새싹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의
'실전 프로젝트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구체적으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tart!⭐

여러분들 중 학교에서 그룹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분들 계신가요?
실무에서 필요한 역량 중 하나가 바로 '프로젝트 관리'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향후 미래의 실무자가 될 교육생들을 위해
프로젝트의 기초부터 실전까지 모두 다룬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운영하기 전 중요한 단계, 알고 계신가요?
저번 포스팅에서도 강조한 것처럼
'기초'에 대해 알아야 하죠.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는
프로젝트의 주제와 방향성 선정 방법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했습니다.
교육생 여러분들께서 개별적으로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개인 프로젝트' 수업부터 진행했습니다.
1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교육생들은
프로젝트 전략이 어떻게 수립되고, 진행되는지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개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해서
자유롭게 피드백을 제공하며
교육생들이 개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에서 필요한 기초부터 학습했습니다.
개인 프로젝트 수업 후에는
'2인 프로젝트'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후,
현업 전문 강사 및 멘토링을 통한 현업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룹별로 프로젝트의 주제를 선정하고
향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정했습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도 그룹별로 피드백이 진행되었습니다.

이제 실무 프로젝트로 도입하기 전 실무자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을 알아야 하죠.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바로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커뮤니케이션'은 나 이외에 다른 사람과의 협업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스킬이자
실무자에게 반드시 없어서는 안되는 핵심 역량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교육생 여러분들이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의 이해 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프로젝트의 주제와 방향성을 정하는 과정에서는
'정보 구조도' & '스토리 보드'가 활용됩니다.
교육생들은 '서비스기획' 이론 수업에서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에 대한 기초 개념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이러한 서비스기획의 기초 단계인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우선,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드리자면
프로젝트의 '중심'을 담당하는 작업입니다.
데이터 활용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가에 대하여 기본적인 틀을 세우는 단계가
바로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2인 프로젝트 수업에서 교육생들은 프로젝트 과정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 하나인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 작성'을 통해
서비스 기획의 기초를 세울 수 있습니다.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를 작성한 후
2인 프로젝트에 대한 그룹 멘토링이 진행되었습니다.
교육생들은 그룹 멘토링을 통해
2인 프로젝트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받으며
다음 단계인 '10인 프로젝트 수업'에서 원활한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의 핵심이죠.💡
프로젝트의 기초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10인 이상으로 팀을 구성하여
'실전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 그룹을 구성한 후
과제 형식으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진행되었고
현업 전문 강사 및 멘토링 프로그램이 이어서 진행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10인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소개해 드리기 전에
교육생들이 진행한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UI&UX 디자인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프로토타입 테스트🖍️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고,
기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피드백을 제안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미리 해결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죠.
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바로 '프로토타입 테스트'입니다.
프로토타입 테스트는 본격적인 제품 또는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 단계에
사용자들이 사용해보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번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교육생들이 직접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시연하며
실무에서 필요한 프로젝트 역량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2. UI & UX 디자인🖍️
UI(User Experience)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때 직접적으로 접하는 시각적 요소를 만드는 데에 중점을 두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UX(User Experience) 디자인은 사용자 조사와 프로토타이핑에서부터 마케팅까지
전체 과정을 다루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UI & UX 디자인 분야에 관하여
교육생들이 산출한 내용물을 간단히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번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디지털 역량이 실무자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위치 데이터 서비스앱을 소재로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실전 프로젝트 과정에서
위치 데이터 서비스앱의 개선 사항과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기획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마지막 단계로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여기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발표로 끝나면 아쉽겠죠?
미래의 프로젝트 관리자로 성장할 교육생들을 위해
멘토링 프로그램도 진행했습니다.
3. 멘토링 프로그램✨
실전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앞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필요한 점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중요한 단계죠.
단순히 실전 프로젝트 수업으로 끝나기 보다
교육생들이 진행한 프로젝트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멘토링 프로그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면 이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현장에 대해
사진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론 수업과 실무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데이터 활용 기반의 서비스기획을 목표로 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현장에서 교육생들은 2인부터 10인까지 그룹별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실무에서 필요한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쌓았습니다.

그룹별로 프로젝트를 수립한 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발표하는 시간도 가졌는데요.
이후 멘토링 프로그램을 거치면서
향후 교육생들이 어떤 점을 더 보완해야 하는지
피드백이 제공되었습니다.😉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 진행되었던 과정에 대해 전해드리자면
'위치 기반 플랫폼의 서비스 기획 제안'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기존 위치 기반 서비스앱의 개선할 점을 인식하고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UI,UX 디자인을 활용하여 시각적 구현을 완성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개선 사항에 대해 정리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했습니다.

다음은 수강생들이 남긴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만족도 조사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실전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실무에서 데이터 활용 기반의 서비스기획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고
미래의 실무자로서 필요한 프로젝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에이블런은
국내 주요 대기업 신입사원 및 임직원의 직무 역량 강화 교육 운영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 기업들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데이터 분석 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분,
⭐실무 교육에 앞서 시작이 두려운 분,
⭐이론부터 실무까지 한번에 해결하고 싶은 분,
⭐디지털 분석 능력을 키우고 싶은 분,
⭐실전 프로젝트 경험을 쌓고 싶은 분
모두 에이블런에 문의주세요!!✨
⚠️ 스포주의 ⚠️
다음에는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교원들의 데이터 역량 강화를 위한 데이터 교육'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신청하러 가기👇
IT 부트캠프 모집 알림을 받고 싶다면?
click

안녕하세요.😉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활용 전문 그룹 <에이블런>입니다.
오늘은 에이블런과 서울경제진흥원이 함께한
청년취업사관학교 새싹(Seoul Software Academy, SeSac) 동작 캄퍼스 3기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실전 프로젝트 편'으로 찾아왔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의 핵심 과정과
이론 교육 과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데이터 활용 기반의 실무자로서 필요한 핵심 역량에 대하여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 이론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시리즈 1.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서비스기획 실무교육 & 취업성공을 위한 치트키🔑<체인저스 5기>
시리즈 2.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이론부터 Start! 데이터 분석 기초부터 UX,UI 디자인과 프로토타이핑의 개념까지👍
데이터 분석의 기초 개념부터 시작해서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기획에서 필요한 디지털 활용 툴에 대한
이론 교육 과정을 거친 후
교육생들이 현업 프로젝트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생 여러분들께서 직접
1인부터 10인 이상의 실전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수립할 수 있는
실무 교육을 수강할 수 있도록
에이블런 X 새싹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의
'실전 프로젝트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구체적으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Start!⭐
여러분들 중 학교에서 그룹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분들 계신가요?
실무에서 필요한 역량 중 하나가 바로 '프로젝트 관리'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향후 미래의 실무자가 될 교육생들을 위해
프로젝트의 기초부터 실전까지 모두 다룬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운영하기 전 중요한 단계, 알고 계신가요?
저번 포스팅에서도 강조한 것처럼
'기초'에 대해 알아야 하죠.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는
프로젝트의 주제와 방향성 선정 방법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했습니다.
교육생 여러분들께서 개별적으로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개인 프로젝트' 수업부터 진행했습니다.
1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교육생들은
프로젝트 전략이 어떻게 수립되고, 진행되는지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개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해서
자유롭게 피드백을 제공하며
교육생들이 개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프로젝트 관리에서 필요한 기초부터 학습했습니다.
개인 프로젝트 수업 후에는
'2인 프로젝트'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프로젝트 팀을 구성한 후,
현업 전문 강사 및 멘토링을 통한 현업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룹별로 프로젝트의 주제를 선정하고
향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정했습니다.
물론 이 과정에서도 그룹별로 피드백이 진행되었습니다.
이제 실무 프로젝트로 도입하기 전 실무자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을 알아야 하죠.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바로 '커뮤니케이션'입니다.😉
'커뮤니케이션'은 나 이외에 다른 사람과의 협업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스킬이자
실무자에게 반드시 없어서는 안되는 핵심 역량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교육생 여러분들이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의 이해 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프로젝트의 주제와 방향성을 정하는 과정에서는
'정보 구조도' & '스토리 보드'가 활용됩니다.
교육생들은 '서비스기획' 이론 수업에서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에 대한 기초 개념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이러한 서비스기획의 기초 단계인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우선,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드리자면
프로젝트의 '중심'을 담당하는 작업입니다.
데이터 활용 기반 서비스를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가에 대하여 기본적인 틀을 세우는 단계가
바로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2인 프로젝트 수업에서 교육생들은 프로젝트 과정에서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 하나인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 작성'을 통해
서비스 기획의 기초를 세울 수 있습니다.
정보 구조도와 스토리 보드를 작성한 후
2인 프로젝트에 대한 그룹 멘토링이 진행되었습니다.
교육생들은 그룹 멘토링을 통해
2인 프로젝트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받으며
다음 단계인 '10인 프로젝트 수업'에서 원활한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의 핵심이죠.💡
프로젝트의 기초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10인 이상으로 팀을 구성하여
'실전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 그룹을 구성한 후
과제 형식으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진행되었고
현업 전문 강사 및 멘토링 프로그램이 이어서 진행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10인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소개해 드리기 전에
교육생들이 진행한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UI&UX 디자인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프로토타입 테스트🖍️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고,
기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피드백을 제안하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미리 해결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죠.
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바로 '프로토타입 테스트'입니다.
프로토타입 테스트는 본격적인 제품 또는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 단계에
사용자들이 사용해보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번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교육생들이 직접 프로토타입 테스트를 시연하며
실무에서 필요한 프로젝트 역량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2. UI & UX 디자인🖍️
UI(User Experience) 디자인은 사용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할 때 직접적으로 접하는 시각적 요소를 만드는 데에 중점을 두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UX(User Experience) 디자인은 사용자 조사와 프로토타이핑에서부터 마케팅까지
전체 과정을 다루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UI & UX 디자인 분야에 관하여
교육생들이 산출한 내용물을 간단히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번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는
디지털 역량이 실무자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위치 데이터 서비스앱을 소재로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실전 프로젝트 과정에서
위치 데이터 서비스앱의 개선 사항과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기획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마지막 단계로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마무리되었습니다.
⭐여기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발표로 끝나면 아쉽겠죠?
미래의 프로젝트 관리자로 성장할 교육생들을 위해
멘토링 프로그램도 진행했습니다.
3. 멘토링 프로그램✨
실전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앞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필요한 점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중요한 단계죠.
단순히 실전 프로젝트 수업으로 끝나기 보다
교육생들이 진행한 프로젝트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멘토링 프로그이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면 이제 실전 프로젝트 수업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현장에 대해
사진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론 수업과 실무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데이터 활용 기반의 서비스기획을 목표로 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현장에서 교육생들은 2인부터 10인까지 그룹별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실무에서 필요한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쌓았습니다.
그룹별로 프로젝트를 수립한 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발표하는 시간도 가졌는데요.
이후 멘토링 프로그램을 거치면서
향후 교육생들이 어떤 점을 더 보완해야 하는지
피드백이 제공되었습니다.😉
실전 프로젝트 수업에서 진행되었던 과정에 대해 전해드리자면
'위치 기반 플랫폼의 서비스 기획 제안'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기존 위치 기반 서비스앱의 개선할 점을 인식하고
프로토타입 테스트와 UI,UX 디자인을 활용하여 시각적 구현을 완성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개선 사항에 대해 정리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했습니다.
다음은 수강생들이 남긴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 만족도 조사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데이터 드리븐 서비스기획 체인저스 5기>에서는
실전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실무에서 데이터 활용 기반의 서비스기획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하고
미래의 실무자로서 필요한 프로젝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에이블런은
국내 주요 대기업 신입사원 및 임직원의 직무 역량 강화 교육 운영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 기업들의 수요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데이터 분석 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분,
⭐실무 교육에 앞서 시작이 두려운 분,
⭐이론부터 실무까지 한번에 해결하고 싶은 분,
⭐디지털 분석 능력을 키우고 싶은 분,
⭐실전 프로젝트 경험을 쌓고 싶은 분
모두 에이블런에 문의주세요!!✨
⚠️ 스포주의 ⚠️
다음에는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교원들의 데이터 역량 강화를 위한 데이터 교육'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신청하러 가기👇
IT 부트캠프 모집 알림을 받고 싶다면?
click